1960~70년대 빈민촌 아동의 교육 현실 – 야학과 배움의 생존기

 


1960~70년대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된 시기였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도시 외곽 빈민촌, 달동네, 철거민 정착지에 살던 수만 명의 아이들**이 있었다. 그들은 초등학교에 가지 못했고, **주민등록에도 ‘학생’이 아닌 ‘무직’으로 기재되었다.** 이 글은 당시 **빈곤과 교육의 단절**, 그리고 이를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야학(夜學)’의 교육 실천**을 복원하는 글이다.

1. 빈민 아동은 왜 학교에 가지 못했는가?

국가는 초등 의무교육을 확대하고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빈민촌 아동 상당수는 **교육 사각지대에 놓였다**:

  • 주소 미등록 – 무허가 판잣집에 거주, 학교 배정 제외
  • 입학 서류 부족 – 출생신고 누락, 호적 없음
  • 가사 노동 – 쓰레기 수집, 물지게, 동생 돌보기 등 생계 기여
  • 차별과 낙인 – ‘철거민 자녀’라는 이유로 교사·학생의 차별

결국 이 아이들은 **공식 교육 체계에서 자연스럽게 탈락**했고, 그들의 교육권은 **통계에도 잡히지 않았다.**

2. 야학이란 무엇이었나?

‘야학(夜學)’은 밤에 열리는 비공식 학교로, 본래는 성인문해교육을 목적으로 했으나, 60년대 후반부터는 **아동 대상의 ‘대안 초등학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야학의 특징

  • 장소: 교회 지하실, 천막, 철거민센터 등
  • 교사: 대학생, 종교인, 은퇴 교사
  • 시간: 주로 오후 6시~10시
  • 수업 내용: 초등 과정(한글, 셈하기), 위생 교육, 노동법 기초 등

특히 1971년 이후, 일부 야학은 **‘주민 조직’과 결합한 정치적 공간**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3. 실제 야학의 사례들

지역 야학명 운영 주체 특징
서울 구로구 가리봉 가리봉야학 대학생 봉사단체 철거민 자녀 중심, 산동네 수업
부산 동구 초량동 초량야학교 기독교 단체 부두노동자 자녀 대상, 식사 제공
광주 광천동 광천야학 청년교회 문해 + 시민권 교육, 5·18 이후 폐쇄
대전 원동 원동공부방 여성노동자 모임 야학과 보육 병행

4. 정부의 반응 – 묵인과 단속 사이

야학은 공식 교육기관이 아니었기에 **법적으로는 ‘무허가 교육시설’**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초등학교 취학률을 높여야 했던 정부는 **일정 부분 묵인하거나, 때로는 ‘단속’하기도 했다.**

  • 묵인 사례: 종교기관 내 야학에 한해 조사 생략
  • 단속 사례: 1975년 서울 신림동 ‘산동네 야학’ 경찰 진입 후 폐쇄
  • 정책 편입 시도: 1979년 일부 야학 → ‘보완 교육 교실’로 흡수 시도

결국 야학은 정부 교육정책의 ‘공백을 채운 존재’였지만, 정치적으로는 **감시의 대상**이기도 했다.

5. 배움의 기록 – 빈민 아동이 남긴 노트 한 장

당시 야학에서 가르쳤던 교재는 대부분 **손글씨 유인물**이었고, 학생들의 노트도 **광고지 뒷면, 종이상자 일부, 기부받은 노트 조각** 등이었다. 한 서울 구로야학 출신 아동의 노트에는 이런 글이 적혀 있었다:

“나는 공부를 안 해도 되는 줄 알았는데, 형이 나에게 한글을 가르쳐 줬다. 이제 나는 내 이름을 쓸 수 있다. 이름을 쓰면 어른들이 나를 다르게 본다.” – 1972년, ‘가리봉야학’ 초등반 노트 중

이는 단순한 문해가 아닌, **존엄의 회복이자 정체성의 시작**이었다.

결론: 야학은 가난한 아이들의 학교였고, 생존이었다

대한민국은 ‘교육을 통해 성장한 나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 성장 뒤에는 **기록되지 않은 교육, 보이지 않는 배움**이 존재했다. 야학은 단순한 밤의 수업이 아니라, **가난 속에서도 배우고자 한 의지의 공간**이자, 그 아이들이 **존재를 증명하려 했던 치열한 생존기**였다. 이 글은 그들을 위해 쓰는 작은 역사 복원이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