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경 여성 빈민 공동체 – 고려 말기 ‘이혼 여성들’의 생존 방식

고려시대는 유교와 불교, 토착 문화가 뒤섞인 사회였고, 그 속에서 여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재산권과 사회적 활동 범위를 누렸다. 하지만 고려 후기로 갈수록 **혼인과 가족 제도는 급격히 남성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그 과정에서 **이혼하거나 버림받은 여성들**은 **사회적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이 글은 고려 말 수도 개경(開京)에서 형성된 **이혼 여성 중심의 빈민 공동체**를 기록 사료를 바탕으로 복원하고, **중세 조선 이전 ‘비공식 여성 사회’**의 가능성을 추적한다.

1. 고려시대의 이혼, 가능했는가?

고려시대에는 조선보다 훨씬 **개방적인 이혼 제도**가 존재했다. 남녀 모두 **일방적 이혼 요구가 가능**했고,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자주 등장했다:

  • 재산 문제
  • 자식 없음
  • 폭력, 유기
  • 가문 간 갈등

실제 <고려사>에는 “서울 장안의 이혼 부녀자들이 거리마다 넘쳐났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단순한 ‘이혼 허용’이 아닌, **이혼 이후 사회 구조의 결핍**을 보여준다.

2. 여성 빈민 공동체의 형성 배경

요소 설명
사회 혼란 몽골 침입, 무신정권 붕괴기, 지방 실정
재혼 제한 이혼 여성을 꺼리는 풍조 확대
경제적 독립 없음 남성 중심의 호적·토지 제도
불교와 토속 신앙 결합 ‘청정’ 여성 공동체에 대한 관념 수용

결국 이혼·과부·유기 여성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식사, 노동, 의복을 공동으로 해결하는 생존 단위**를 만들게 된 것이다.

3. ‘사모합(四母合)’ 공동체 – 실제 사례

개경 외곽에서 발견된 “사모합(四母合)”은 이혼 여성 네 명이 모여 살던 공동 거주지로, <문헌비고>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한다:

“청교(淸郊)에 거주하던 네 여인, 모두 남편과 이혼하고 따로이 모여 자급자족하며 사니, 사람들이 이를 ‘사모합’이라 하더라.” – 『문헌비고』, 잡기편

이들은 농작물 재배, 의복 수선, 부녀자 대상 점복 활동 등을 통해 **생계를 꾸려갔으며**, 남성의 보호 없이도 ‘자신들만의 사회’를 유지한 보기 드문 사례였다.

4. 이 공동체에 대한 당시 사회의 시선

  • 보수층 시선: 가문 질서를 해치는 방탕한 존재로 비난
  • 불교계 시선: ‘속세를 떠난 여성 수행 공동체’로 호의
  • 서민층 시선: 점복·약초 등 실질 도움 주는 존재로 수용

이처럼 ‘사모합’과 같은 여성 공동체는 당시 **계급별, 사상별로 매우 상반된 평가**를 받았으며, 공식 사료에서는 점차 소거되거나 왜곡된 기록으로 남게 된다.

5. 조선시대에는 왜 사라졌는가?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유산이 일부 남아 있었지만, 세종~성종 이후 성리학 이념이 강화되며 **여성의 단독 거주, 재혼, 자립 자체가 사회 질서에 반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여성 공동체’는 **풍속 문란, 불법 점복, 미신의 온상**으로 낙인찍혀 철저히 단속되었다.

따라서 고려 말기의 여성 빈민 공동체는 **조선의 법과 윤리 속에서 철저히 소멸되었고**, 그 흔적만이 몇몇 고문헌의 ‘이상한 여성들’로 남게 되었다.

결론: 중세 고려에는 ‘여성만의 사회’도 존재했다

우리는 흔히 중세 사회를 남성 중심으로 이해하지만, **고려 후기에는 남성에게 의존하지 않고 살아간 여성 공동체의 가능성**이 분명히 존재했다. 그들은 사회 제도 밖에서 살았지만, 그만큼 더 자율적이었다. ‘사모합’과 같은 존재들은 **가족 제도 바깥에서도 인간다운 삶이 가능함을 보여준 역사적 증거**다. 이 글은 그들의 목소리가 사라진 이후, 그 **살아남은 흔적**을 통해 다시 그려본 **중세 여성의 대안 사회사**다.

다음 이전